현대 코나 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코나 N은 2021년 4월에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N 모델이다. i30 N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2.0T 플랫파워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출력 280ps, N 그린 쉬프트(NGS) 사용 시 290ps의 성능을 발휘한다. 8단 습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사용하며, N 코너 카빙 디퍼렌셜(e-LSD), 능동 가변 배기 시스템, 런치 컨트롤 등 고성능 주행 기술을 적용했다. 디자인은 N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 다크 크롬 엠블럼, 19인치 휠 등을 통해 차별성을 두었으며, 실내에는 N 전용 시트, N 트랙 맵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한, 더 뉴 코나 출시와 함께 N Line 모델도 출시되었으며, 1.6리터 스마트스트림 CVVD 터보 엔진을 탑재하고, N Line 전용 디자인과 튜닝을 통해 스포티한 주행 감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도입된 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2021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CX-50
마쓰다 CX-50은 2022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크로스오버 SUV로, 2.5리터 자연 흡기 엔진과 터보차저 모델을 갖추고 있으며, 2023년과 2024년에 중국과 미국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되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소형 승용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소형 승용차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현대 코나 N | |
---|---|
자동차 정보 | |
이름 | 현대 코나 N |
![]() | |
차종 | 소형차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생산 년도 | 2021년~현재 |
조립 |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울산공장) |
차체 형식 | 5도어 해치백(2021년~현재)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
차대 | 모노코크 |
엔진 | |
엔진 종류 | 현대 세타엔진 2.0 T-GDI/N 전용 플랫파워 (2021년~현재) |
최고 출력 | 280ps/5,500~6,000rpm |
최대 토크 | 40.0kg.m/2,100~4,700rpm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수동 6단 습식 듀얼 클러치 자동 8단 |
크기 | |
축간 거리 | 2,600mm |
전장 | 4,215mm |
전폭 | 1,800mm |
전고 | 1,550mm(루프랙 적용시 1,565mm) |
연료 | 가솔린 |
관련 차량 | |
관련 차량 | 현대 벨로스터 N 현대 i30 N |
2. 1세대 (OS PE)
1세대 코나(OS)의 상품성 개선 모델(PE, Product Enhancement)을 기반으로 고성능 모델과 스포티 트림이 파생되었다.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브랜드 N의 첫 SUV 모델인 코나 N과, 더 뉴 코나의 스포티 트림인 N Line 모델이 이에 해당한다.
코나 N은 2.0리터 터보 엔진과 8단 습식 DCT를 탑재하여 강력한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본격 고성능 모델이며, 더 뉴 코나 N Line은 1.6리터 터보 엔진을 기반으로 N Line 전용 디자인과 튜닝을 적용하여 스포티한 감성을 더한 모델이다. 각 모델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코나 N (2021년 4월 27일 ~ 현재)

2021년 4월 27일,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브랜드 N은 온라인 'N Day' 행사를 통해 코나 N을 공개했다. 이는 i30 N, i30 패스트백 N(대한민국 미출시), 벨로스터 N, i20 N(대한민국 미출시)에 이어 출시된 다섯 번째 N 모델이다.
코나(O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코나가 3세대 i30의 플랫폼을 공유하기 때문에 사실상 i30 N의 SUV 버전 파생형 모델로 볼 수 있다. 파워트레인은 기존 N 모델의 엔진을 개선한 2.0T 플랫파워 엔진과 수동변속기 없이 8단 습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가 조합되며, 사륜구동 모델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전 모델들에서 선택 사양이던 N 코너 카빙 디퍼렌셜(e-LSD), 능동 가변 배기 시스템, 런치 컨트롤 등 다양한 고성능 주행 관련 기술들이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또한, 8단 습식 DCT와 연동되는 N 그린 쉬프트(NGS) 등의 기능도 포함된다.[1] SUV의 특성을 고려한 튜닝과 함께 N 모델 고유의 주행 성능 강화 요소들이 적용되었으며, 일부 편의 및 안전 사양에서는 다른 N 모델과 차별점을 보인다.
2. 1. 1. 엔진 및 변속기
벨로스터 N 등 기존 N 모델에 사용된 현대 세타2 터보 GDi 엔진(G4KH)을 기반으로 성능을 개선한 2.0T 플랫파워 엔진을 탑재했다. 이 엔진은 터보차저의 터빈 휠 지름을 5mm 늘리고(51.5mm→52mm), 터빈 유로 면적을 2.5mm2 확대(10mm²→12.5mm²)하여 최고출력 280ps, 최대토크 40kg·m를 발휘한다. 이는 기존 엔진 대비 각각 5ps, 4kg·m 향상된 수치다. 또한, 기존 엔진이 6000rpm에서 최고출력을 발휘했던 것과 달리, 5500rpm부터 최고출력을 유지하는 플랫파워 기술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1]변속기는 다른 N 모델들과 달리 수동변속기 없이 8단 습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모델만 출시했으며, 4륜구동 버전은 적용되지 않았다. 이 8단 습식 DCT에는 고성능 특화 기능들을 기본으로 적용했다. N 그린 쉬프트(NGS) 기능을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최고출력이 290ps까지 향상되며, 작동 대기 시간도 기존 3분에서 40초로 단축해 향상된 출력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N 파워 시프트(NPS)는 변속 시 엔진 토크 저감을 최소화하고 빠른 가속을 위해 기어 체결 속도와 엔진 출력 발휘 시점을 최적화하여 가속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N 트랙 센스(NTS)는 서킷 주행과 같이 역동적인 주행 상황에서 최적의 변속 시점과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성능을 바탕으로 코나 N은 최고 속도 240km/h, 0-100km/h 가속 시간(제로백) 5.5초의 성능을 발휘한다.[1]
2. 1. 2. 섀시 및 성능
코나 N에는 고성능 주행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었다. N 코너 카빙 디퍼렌셜(e-LSD), 주행 모드에 따라 배기음이 달라지는 능동 가변 배기 시스템, 정지 상태에서 최적의 가속을 돕는 런치 컨트롤 등이 기본으로 탑재되었다. 또한, 일시적으로 출력을 높이는 N 그린 쉬프트(NGS), 변속 충격을 줄이고 가속감을 향상시키는 N 파워 시프트(NPS), 서킷 주행에 최적화된 변속 로직을 제공하는 N 트랙 센스(NTS) 기능도 기본 사양이다.
특히 N 코너 카빙 디퍼렌셜(e-LSD)는 이전 N 모델들보다 전고와 무게 중심이 높은 SUV의 특성에 맞춰 새롭게 튜닝되어, 민첩한 코너링 성능을 확보하고 언더스티어를 억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N 그린 쉬프트(NGS)는 작동 대기 시간이 기존 3분에서 40초로 단축되어, 290마력까지 향상되는 출력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최고 속도 240km/h,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5.5초(NGS 사용 시) 만에 도달하는 성능을 발휘한다.
차체 강성 확보를 위해 기본 모델 대비 용접점을 36점 추가하고, 차체 중앙 터널 부분에 보강용 스테이, 서스펜션 마운트 부분에 스트럿 링 등을 추가했다. 브레이크 시스템도 대폭 강화되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구경을 22.22mm에서 23.81mm로 확대하고 브레이크 부스터의 배력 비율을 조정(8.0:1→7.5:1)했다. 디스크 브레이크 크기도 전륜 280mm에서 360mm로, 후륜은 최대 284mm에서 314mm로 커졌으며, 마찰재 성능을 높인 브레이크 패드를 기본 적용했다. 또한, 주행풍을 이용해 브레이크 시스템을 식히는 에어가이드와 냉각 홀이 적용된 더스트 커버를 통해 제동 성능의 지속성을 높였다.
다른 N 모델들과 달리 8단 습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 모델만 출시되었으며, 4륜구동 옵션은 제공되지 않는다.[1]
2. 1. 3. 디자인
외관 디자인은 고성능 N 모델의 특징을 강조하며 기존 코나와 차별화했다. 전면에는 N 로고가 부착된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고, 현대자동차 브랜드에서 유일하게 다크 크롬으로 처리된 엠블럼을 부착했다. 기본 모델에서 플라스틱으로 마감되었던 휠 아치 부분(클래딩)은 차체 색상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볼륨감을 강조했다. 또한, N 전용 프런트 립 스포일러, 리어 스포일러, 사이드 실 몰딩을 적용하여 고속 주행 시 공력성능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휠은 기존 모델보다 커진 19인치 N 전용 퍼포먼스 휠이 기본으로 제공된다. 타이어는 피렐리의 P Zero(PZ4) 모델이 장착되며, SUV의 특성을 고려하여 코나 N 전용으로 튜닝된 235/40R19 HN 규격이 적용된다. 옵션으로는 N 전용 초경량 19인치 단조 휠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기본 주조 휠 대비 12kg의 현가하질량(unsprung mass)을 줄일 수 있다. 외장 색상으로는 N 모델의 상징인 퍼포먼스 블루 외에 코나 N 전용 소닉 블루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실내는 고성능 주행에 필요한 구성으로 대폭 수정되었다. N 전용 시트를 적용하여 운전 자세를 낮췄으며, 옵션으로 스웨이드 소재가 혼합된 N 프리미엄 시트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N 모델과 달리 N 라이트 스포츠 버킷 시트는 제공되지 않는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계기판 역시 N 모델에 특화된 기능들을 갖추었다. 10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에는 엔진 오일 온도, 냉각수 온도, 토크, 터보 부스트 압력 등의 정보가 표시되며, RPM, 속도계, 기어 단수, 변속 시점 등을 원형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1서클 디자인이 처음 적용되었다. 클러스터 디자인은 주행 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N 그린 컨트롤 시스템과 연동된다. 또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서킷에서의 랩 타임과 주행 기록을 저장하고 분석하는 N 트랙 맵(N Track Map) 기능이 탑재되었다. 이 기능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기록 확인 및 다른 사용자와의 기록 비교가 가능하며, 주행 중 기록된 횡가속도(G-Force), 엔진 회전수(RPM), 출력(토크), 랩 타임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코나 N은 N 모델 중 유일하게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를 적용했다. 이는 기본 코나에 적용된 컴바이너 타입을 기반으로 하며, N 전용 모드 디스플레이가 추가되어 주행 관련 핵심 정보를 운전자 시야 전방에 표시해준다.[1]
2. 1. 4. 편의 기능
10인치 클러스터에는 RPM, 속도계, 기어 단수, 변속 시점 등을 표시하는 '1서클 디자인'이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클러스터의 남은 공간에는 엔진 오일 온도, 냉각수 온도, 토크, 부스트 압력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클러스터 디자인과 주행 모드를 연동하여 변경할 수 있는 'N 그린 컨트롤 시스템'이 최초로 도입되었다.헤드 업 디스플레이(HUD)가 이전 N 모델들과 달리 코나 N에 유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기본 모델인 코나의 컴바이너 타입을 기반으로 N 전용 모드 디스플레이 기능이 추가되어 주행 편의성을 높였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는 서킷 주행이나 고성능 주행에 유용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유온, 냉각수온, 토크, 터보 부스트 압력 등을 계기판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랩 타임과 주행 기록을 저장하는 'N 트랙 맵' 기능도 구현되었다. 이 기능은 별도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록을 확인하고 다른 사용자와 비교할 수 있으며, 주행 중 기록된 횡 가속도(G-Force), 엔진 회전수(RPM), 출력(토크), 랩 타임 등의 상세 데이터를 제공하여 서킷 주행을 즐기는 운전자에게 유용하다.
SUV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현대자동차의 2륜구동 SUV에 적용되던 험로 주행 모드를 N 모델에 맞게 조정한 'N 험로 주행 모드'가 탑재되었다. 이 모드는 차량의 출력과 제동 시스템을 제어하여 다양한 노면 환경에 대응한다.
다른 N 모델들과 차별화되는 점으로, 능동형 안전 장비인 ADAS 기능 중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이 유일하게 탑재되었다. 다만, 정차 및 재출발을 지원하는 Stop & Go 기능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고성능을 추구하면서도 일상 주행에서의 편리함을 중시하는 운전자들을 고려한 구성이다.[1] 시트의 경우, N 라이트 스포츠 버킷 시트는 제공되지 않지만, 스웨이드 소재가 혼합된 N 프리미엄 시트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2. 2. 더 뉴 코나 N Line (OS PE)

더 뉴 코나 N Line은 2020년 10월 15일, 현대 코나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코나' 출시와 함께 선보인 스포티 트림이다.[2] 파워트레인으로는 새롭게 변경된 스마트스트림 감마2 1.6리터 CVVD 터보 엔진이 탑재되었다.[2] 기본 모델과 파워트레인 출력 설정은 동일하지만, N Line 전용 디자인 요소와 함께 스티어링 및 서스펜션 튜닝을 통해 기본 모델 대비 스포티하고 민첩한 주행 감각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2]
2. 2. 1. 파워트레인
현대 코나 N Line 모델은 2020년 10월 15일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코나 출시와 함께 등장했다.[2] 파워트레인으로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새로운 스마트스트림 감마2 1.6리터 CVVD 터보 엔진이 탑재되었다.[2] 최고출력은 198ps으로, 기존 1.6리터 터보 모델의 177ps보다 향상되었다.[2]같은 엔진을 사용하는 현대 아반떼 N Line의 204ps보다는 출력이 다소 낮게 설정되었는데, 이는 SUV라는 차량 특성을 고려하여 저속 및 중속 구간에서의 성능과 토크 발휘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설정이다.[2] 이러한 출력 설정 차이는 동일 엔진을 사용하는 현대자동차의 세단과 SUV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하다.[2]
코나 N Line은 기본 모델과 동일한 파워트레인 설정을 공유하며, 1.6리터 터보 엔진 외에 다른 엔진은 선택할 수 없다.[2]
2. 2. 2. 디자인 및 튜닝
코나 N Line은 외관 디자인에서 기본 모델과 차별점을 두었다. N Line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과 다이아몬드 컷팅 방식의 18인치 휠을 적용했으며, N 모델과 동일하게 차체 하단 클래딩을 차량의 색상과 같은 색으로 구성했다. 또한, N Line 전용 프런트 범퍼와 리어 디퓨저, 노출형 싱글 트윈팁 머플러를 적용하여 스포티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주행 성능 면에서는 전자식 스티어링과 서스펜션을 튜닝하여 기본 모델보다 더 스포티하고 민첩한 주행 감각을 제공하도록 설정을 변경했다.
실내 역시 N Line 전용 디자인 요소를 적용했다. N 로고가 부착된 전용 스티어링 휠, 기어노브, 가죽 시트를 사용하여 기본 모델과 차별화했으며, 실내 송풍구에는 레드 컬러 엑센트를 추가하여 N Line 모델만의 개성을 드러냈다.[2]
참조
[1]
웹인용
현대자동차, ‘코나 N’ 세계 최초 공개
https://news.hmgjour[...]
2021-08-26
[2]
웹인용
N 브랜드의 감성과 고성능을 담다, 더 뉴 코나 N 라인
https://news.hmgjour[...]
2021-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